참여형 브랜딩 | JUST BRAND DESIGN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story | 참여형 브랜딩

본문

 

잘파세대를 위한 '참여형 브랜드' 구축 전략

Z세대를 넘어, 시장의 새로운 주역으로 떠오르는 알파(Alpha) 세대

 

 

 

더 이상 완성된 결과물을 일방적으로 소비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는 새로운 세대를 다룹니다. 

그들은 브랜드의 세계관 구축에 직접 참여하고,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며, 브랜드와 함께 성장하기를 원합니다. 

로블록스(Roblox)나 다양한 크리에이터 플랫폼의 성공 요인을 분석하며, 브랜드가 '무대'가 아닌 '놀이터'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를 탐구합니다.

 

이 주제는 단순히 새로운 세대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의 권력 관계가 근본적으로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다루는, 

미래의 시장을 지배할 이 새로운 세대를 위해, 브랜드가 어떻게 스스로를 파괴하고 재창조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 시대 가장 중요한 전략적 화두입니다.

 

오랫동안 브랜드는 하나의 방송국이었습니다. 

잘 짜인 각본과 완벽하게 통제된 연출을 통해, 완성된 콘텐츠(제품, 광고)를 대중이라는 시청자에게 일방적으로 송출했습니다. 

고객의 역할은 소파에 편안히 앉아 채널을 돌리거나, 혹은 박수를 보내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시대는 저물었습니다. 방송국의 황금기는 끝났습니다. 

Z세대와 알파세대는 더 이상 당신의 수동적인 '시청자'가 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태어날 때부터 손에 스마트폰이라는 '카메라'와 '편집툴'을 쥐고 태어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창작자 세대입니다. 

그들은 문화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 직접 만들고, 해체하고, 재조합하며, 유통시키는 새로운 인류입니다.

 

이 새로운 세대를 사로잡기 위해, 브랜드는 완성된 '작품'을 선보이는 박물관이 아니라, 

누구나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재료와 도구를 제공하는 '오픈 소스 놀이터'가 되어야 합니다.



# 새로운 인류: Z세대, 알파세대를 이해하는 세 가지 키워드


소비자가 아닌 창조자

그들에게 정체성은 무엇을 '소유'했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창조'하고 '공유'했는지로 결정됩니다. 

그들은 틱톡 영상을 만들고, 로블록스에서 게임을 설계하며, 자신만의 밈(Meme)을 만들어 퍼뜨립니다.


유동적인 정체성

그들은 여러 디지털 플랫폼을 오가며 다양한 '부캐'를 자유롭게 넘나듭니다. 브랜드는 그들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절대적인 상징이 아니라, 

자신의 캐릭터를 꾸미기 위해 입고 벗는 하나의 '스킨'이자 '아이템'으로 활용됩니다.


진정성 감별사

그들은 기업이 만들어낸 매끈한 광고보다, 자신과 같은 평범한 크리에이터의 날것 그대로의 리뷰를 100배 더 신뢰합니다. 

꾸며낸 진정성은 그들의 가장 큰 경멸의 대상입니다.



# '참여형 브랜드'를 구축하는 3가지 원칙

 

이 새로운 인류와 함께하기 위해, 브랜드는 과거의 성공 방정식을 모두 잊고, 새로운 게임의 룰을 배워야 합니다.

 

1. 완성된 '성(城)'이 아닌, '레고 블록'을 제공하라. 

과거의 브랜드는 고객에게 완벽하게 지어진 '성'을 제시하고 감탄하기를 바랐습니다. 

하지만 참여형 브랜드는 성을 짓는 데 필요한 각양각색의 '레고 블록'을 제공하고, 고객이 자신만의 성을 만들도록 격려합니다.


브랜드의 역할은 완제품을 파는 것을 넘어, 고객의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과 '툴킷(Toolkit)'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마인크래프트(Minecraft)와 로블록스(Roblox)의 압도적인 성공을 보십시오. 

그들의 핵심 자산은 잘 만들어진 단 하나의 게임이 아니라, 수억 명의 유저들이 수십억 개의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창작 엔진' 그 자체입니다.

 

2. 당신의 브랜드를 통제 불가능한 '밈(Meme)'으로 만들어라. 

과거의 브랜드는 로고와 메시지가 왜곡 없이, 통제된 방식으로 사용되기를 원했습니다. 

하지만 참여형 브랜드는 자신들의 브랜드 자산이 고객들에 의해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재창조되고, 패러디되며, 퍼져나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장려합니다.

 

고객들이 쉽게 가져다가 놀 수 있는 매력적인 '소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틱톡(TikTok)의 성공적인 브랜드 챌린지는 제품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재미있는 '춤'이나 '사운드'라는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브랜드는 통제권을 내려놓는 용기를 통해, 문화적인 '생명력'과 '확산성'을 얻게 됩니다.

 

3. 단순 '소비'가 아닌, '창조'를 보상하라. 

과거의 로열티 프로그램은 더 많이 '구매'한 고객에게 혜택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참여형 브랜드는 더 많이 '창조'하고 '기여'한 고객에게 가장 큰 보상을 제공합니다.

 

브랜드의 생태계에 가장 크게 기여한 팬을 단순한 우수 고객이 아닌, '스타 크리에이터'로 만들어야 합니다. 

나이키가 SWOOSH 플랫폼을 통해 팬들이 디자인한 디지털 스니커즈를 판매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것처럼, 브랜드는 고객을 위한 '경제적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합니다. 고객의 창조적인 열정이 실질적인 보상으로 이어질 때, 그들의 기여는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과거의 브랜드는 '무엇을 만들었는가'로 평가받았습니다. 

하지만 미래의 브랜드는 "자신의 팬들이 무엇을 만들게 했는가"로 평가받게 될 것입니다.

리더의 역할은 이제 브랜드의 일관성을 관리하는 '매니저'가 아니라, 

팬들의 창의력이 만개할 수 있는 생태계를 설계하는 '플랫폼 설계자'가 되어야 합니다.

 

당신의 브랜드는 고객들이 그저 박수치며 바라보는, 완벽하게 연출된 '무대'입니까? 

아니면, 고객들이 직접 뛰어들어 자신만의 춤을 출 수 있는 활기찬 '댄스 플로어'입니까?

 

Z세대와 알파세대는 더 이상 관객석에 얌전히 앉아있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미 무대 위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당신의 브랜드는, 그들과 함께 춤을 출 준비가 되었습니까?

 

 

 

Copyright. JUST INC. All rights reserved.

 


JUST BRAND DESIGN

Contact info. 02-533-2750

Fax. 02-533-2790

E-Mail. just@justcomm.co.kr

Office.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817-38 민영 bldg. 2F

사업자등록번호. 214-88-46054

Copyright 2015. JUST CREATIVE corp. All rights reserved.